평론

 

2000년대, 한국문학을 위한 비판적 단상

 

 

김영찬 金永贊

문학평론가. 성균관대 강사. 주요 평론으로 「한국문학의 증상들 혹은 리얼리즘이라는 독법」, 역서로 『근대성과 페미니즘』(공역) 등이 있다. youngmarx@naver.com

 

 

1. 문학의 곤경, 그리고……

 

21세기 초입, 지금 한국사회가 겪고 있는 변화는 문학에 결코 호의적이지 않다. 지금 그렇듯, 앞으로도 필시 그러할 것이다. 그 원인에 대해서는 영상문화의 영향력 확대와 멀티미디어 테크놀로지의 발전, 그로부터 촉발된 문화적 다양화와 문자문화의 자연스런 위축 등을 거론하는 수많은 진단이 이미 있었으니 여기서 재삼 반복할 필요를 느끼지는 않는다. 다만 그와 관련하여 이 지점에서 새삼 다시 환기하고픈 것은 현실사회주의의 몰락에 의해 가속화된 진보이념의 패퇴, 그로 인한 좌절과 환멸이라는 착잡한 과거사의 기억이다. 지금까지 그것은 흔히 민중―민족문학 또는 리얼리즘 문학의 위축을 불러온 요인으로 지목되고 또 그런 문맥에서 호명되어왔다. 그러나 그 점은 사태의 일면일 뿐이다. 크게 보면 그 과거사가 야기한 효과는 한국사회에서 문학의 위상에 대한 인식의 변화, 그리고 그와 연동된 문학 자체의 존재방식의 변화였다. 1970~80년대에 특히 그랬듯 기존의 문학이 문학 바깥의 가치영역들을 통섭(通涉)하고 그것에 실질적인 지적 영향력을 발휘하는 일종의 메타적 위치에 있었다면, 이제 문학은 그 자리에서 내려와 그 자신에 할당된 개별적인 제도영역 속에서의 자족적 생존을 자신의 고유한 존재방식으로 내면화하고 있다. 흔히 ‘환멸’이라 일컫는 주조(主調)와 긴밀히 연결되어 있는 1990년대의 일련의 변화는 개인과 일상이라는 새로운 미학적 가치의 발견으로 이어졌으나, 그것은 다른 한편으로는 문학 자체의 사회적 위상과 권역의 그같은 축소와 결합되어 있는 것이었다. 단순하게 말하자면 문학은 이제 더이상 사회적으로 영향력있는 통합적인 사유와 지혜(혹은 지식)의 매체가 아닌 것이다.

어쩌면 우리는 이를 문학의 뒤늦은 분화와 자율성 획득의 전도된 표현으로 받아들여야 할지도 모른다. 어차피 역사란 돌이킬 수 없는 것이라면, ‘90년대 문학’의 주체들이 그 역사에서 읽었던 것은 한국사회의 집단적 과제의 압박에 의해 유보되었던 문학 자체의 자기완결적인 미학적 성숙에 대한 요구였다. 다른 한편 가혹한 역사의 흐름에 크게 영향받은 대부분 민중―민족문학의 미학적 침체와 퇴행은 부정적(negative)인 형태로 제기된 그런 역사의 요구를 나름의 방식으로 돌파하는 성실한 대응이 없었던 데에서 비롯되었다고도 할 수 있을 터다. 개인과 일상의 가치를 앞세운 90년대 문학이 미학의 영역에서 이루어낸 진화는 그런 맥락에서 본다면 분명 부정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지금 와 돌아보면 90년대 문학이 이루어낸 그 미학적 진화의 뜻하지 않은 부대비용 역시 만만치 않다. 자아를 강조하는 가운데 한국문학은 알게 모르게 조금씩, 문학이 실현해야 할 보편가치와의 연결지점을 상실해가고 있었던 것이다. 그 결과는 물론 문학의 자발적 왜소화와 사소화(些少化)다. 적어도 지금, 그것은 이제 쉽게 돌이킬 수 없는 흐름으로 고착되어버린 느낌이다.

새로운 세기의 문학에 요구되는 윤리적·정치적 과제를 민주주의 문제를 중심으로 날카롭게 제기하고 있는 황종연(黃鍾淵)의 글1이 갖는 중요성은 여기에 있다. 사실 이 글의 촛점은 고은(高銀)의 『만인보』 비판에 맞춰져 있고 문학과 정치, 또는 민주주의와의 관계에 대한 언급도 그런 문맥을 타고 있는 것이다.2 하지만 이 글의 문제성을 고은의 『만인보』와 그것을 매개로 한 민중-민족문학에 대한 비판의 맥락에서만 주목한다면 한국문학 전체를 위해서는 불행한 일이 될 것이다. 이 글은 그것이 제출된 문맥을 떠나 그 자체로 21세기 한국문학의 정치학과 관련하여 가벼이 넘겨버릴 수 없는 소중한 문제제기와 제안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 황종연은 라끌라우(ErnestoLaclau)와 무페(Chantal Mouffe)의 급진민주주의 이론과 찰스 테일러(Charles Taylor)의 정체성의 정치(identity politics)를 참조하면서 민주주의 기획의 필요성과 그것을 매개로 한 문학과 정치의 만남을 강조한다. 실제로 “개인이 그 자신을 정의하고 발전시킬 권리”(「민주화」 398면)에서 출발하는 자유주의의 심화와 확대를 민주주의의 기초에 놓는 사고는 현대 정치철학에서는 일반화된 상식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그런 의미에서 황종연의 문제제기는 문학과 정치의 문제를 사고하는 데서 소홀히 넘기기 쉬운 기본을 다시금 환기하면서 출발한다는 점에서도 중요하다.3특히 “문학이 다수의 사람들에게 여전히 의미있는 언어예술로 존재하려면”(「민주화」 409면) 무엇보다 “문학인의 재능과 성의를 요하는 기획”으로서 “민주주의의 실현”(「민주화」 390면)에 대한 방도를 궁구(窮究)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은 문학인 모두가 귀담아들어야 할 문제제기다.

이 글을 단지 고은의 시와 나아가 민중―민족문학에 대한 비판의 맥락으로만 환원할 수 없는 것은 그런 까닭에서다. 크게 보면 황종연의 문제제기가 지닌 생산적 차원은 무엇보다 그동안 많은 한국문학이 자발적으로 망각하고 있었던 보편가치에 대한 문학의 관계맺음을 근원에서 다시 사고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다는 데 있다. 그런 의미에서 이 논의는 지금 한국문학의 현재를 있는 그대로 비추어볼 수 있는 거울로서도 중요한 참조지점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것이 궁극적으로는 21세기 한국문학의 미래를 성찰하는 문제와 무관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굳이 2000년대 한국문학의 현재를 진단하는 이 글을 문학과 정치의 만남을 기대하는 황종연의 제안을 주목하면서 시작하는 까닭은 거기에 있다.

 

 

2. 근대 개인의 문화와 90년대 문학

 

먼저 우리는 황종연의 본래 의도와는 별개로, 무엇보다 오늘날 문학의 새로운 윤리와 정치의 필요성에 대한 그의 시의적절한 문제제기가 하필 고은 시에 대한 ‘비판’에 얹혀 제출되었다는 그 사실 자체를 일단 하나의 증상으로 읽어야 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 지금 한국문학이 궁리해야 할 민주주의 기획의 실현에 대한 중요한 제안이 그처럼 네거티브한 방식으로 제출될 수밖에 없었다는 사실은, 거꾸로 보면 이 글에서 그가 주장하는 문학의 정치학을 그 기본에서부터 올곧게 감당하고 있는 한국문학의 사례를 지금 이 시대에는 쉽게 찾아볼 수 없으리라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다. 따라서 고은의 시에 “근대적인 개인의 문화”(「민주화」 400면)가 누락되어 있다는 비판이나 민주주의의 기초가 되는 “자유주의의 심화와 확대”(「민주화」 398면)에 대한 천착이 없다는 진단은 내가 보기에는 비단 고은의 시에만 국한될 것이 아니라 마땅히 지난 세기는 물론 이 시대의 한국문학 전체가 감수해야 할 비판이다.

사실 민중-민족문학뿐만 아니라 1990년대 이후 지금에 이르기까지 개인의 내면에 집중하면서 이야기를 펼쳐왔던 한국문학조차도 황종연이 주장하는 ‘근대 개인의 문화’에 대한 치열한 탐구에 결코 값하지 못했다는 것은 간과할 수 없

  1. 황종연 「민주화 이후의 정치와 문학: 고은 『만인보』의 민중-민족주의 비판」, 『문학동네』 2004년 겨울호. 앞으로 이 글을 인용할 경우에는 「민주화」로 약칭하고 책의 면수만을 표시한다. 이와 함께 검토하는 황종연의 「모더니즘에 대한 오해에 맞서서」(『창작과비평』 2002년 여름호)는 「모더니즘」으로 약칭한다.
  2. 참고로 황종연이 이 글에서 진력하고 있는 고은 시에 대한 비판은 나로서도 의견을 같이하고 충분히 공감하는 내용인만큼 따로 언급할 필요를 느끼지는 않는다. 따라서 이후 전개되는 논의는 당연히 『만인보』에 대한 황종연의 해석이나 비판의 내용 자체에 촛점을 맞춘 반론은 아니다. 다만 자세히 이야기할 자리는 아니지만, 고은 시의 문제점은 황종연이 적시한 민중이나 민족에 대한 이해방식의 문제만으로 환원할 수 없는, 역사나 현실 속에서의 주체위치의 정립방식과 태도에서도 크게 기인한다는 것이 거칠게나마 대강의 나의 생각이다.
  3. 최원식은 황종연의 민주주의론에 대해 “개인의 탄생을 내세운 구미자본주의 사회가 개인의 무덤 위에 세워진 엘리뜨지배로 귀결된 사정”을 환기하면서 “공공선에 충성하는 계급연합적 공화(共和)에 의해 제어되지 않는다면 민주주의의 전진은 제국의 출현 또는 국가의 붕괴를 오히려 도울 수도 있는 것”이라고 비판한다(최원식 「자력갱생의 시학」, 『창작과비평』 2005년 여름호 32면). 그러나 이런 비판은 실제로 정곡을 얻었다고 할 수는 없다. 개인의 자유주의적 가치를 강조한다고 해서 황종연이 의거하고 있는 ‘급진민주주의’가 ‘공공선에 충성하는 계급연합적 공화’에 결코 무관심하다고는 할 수 없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