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곡

 

 

전진오

전진오 全津吾

1986년생. 동국대 문예창작학과 2학년.

chesarjino@hanmail.net

 

 

 

달로 가요

 

씨놉시스

차압딱지가 가득 붙은, 엄마 혼자 살고 있는 집에 2년 만에 아들이 나타나 뜬금없이 김밥을 말아달라고 한다. 김밥을 말면서 이유를 묻는 엄마에게 아들은 무중력상태에서 먹기에 가장 간편한 음식이 김밥이라며, 오늘 자정에 달로 가서 얼음을 가져오겠다고 한다. 얼음만 가져오면 성공한 인생이 펼쳐진다고 장담하는 그의 말을 엄마는 믿을 수 없다. 아버지를 찾으러 나간 줄 알았는데, 달에 갈 준비를 해왔다는 것이다. 엄마는 이제부터라도 착실하게 지내면서 취업이나 하라고 말리지만 아들은 막무가내다.

그러더니 2년 동안 타향살이 하면서 결혼을 했다며 엄마에게 여자를 소개한다. 초등부 영재반 수학선생이라는 여자는 알 수 없는 공식을 들먹이며 아들의 말을 믿으라고 설득한다. 아들과 여자는 갖은 고생을 해가면서 우주선을 만들어온 이야기를 늘어놓지만, 엄마는 그런 허무맹랑한 얘기를 계속 듣느니 죽어버리겠다는 둥 완강하게 저항한다. 한참을 실랑이하다 밖에서 시끄럽게 울리는 경적소리에 엄마는 주차장에 세워진 우주선을 보게 되고 두 사람을 조금씩 믿기 시작한다.

모정에 호소하는 아들 때문에 결국 마음이 바뀐 엄마는 아들을 응원하며 다시 김밥을 만다. 오붓하게 서로의 희망에 대해 얘기하는 사이, 견인차가 우주선을 끌고가는 소리가 들리고 아들이 급히 뛰쳐나간다. 겨우 견인차를 무른 후 자정이 다가오자 아들은 곧바로 우주선에 올라탄다. 엄마는 김밥을 놓고 나간 아들을 안타까워한다. 엄마와 여자의 카운트다운 속에 아들은 우주로 향해가는데, 견인차 때문에 궤도가 어긋난 우주선은 인공위성과 충돌한다. 폭발하는 우주선을 보며 여자는 좌절하지만, 엄마는 그것이 아들이 준비한 불꽃놀이라 믿고 예전에 온가족이 불꽃놀이를 하던 순간을 추억하면서 행복에 젖는다.

 

*지면사정으로 작품의 일부만 싣습니다. 희곡 전문은 대산문화재단 홈페이지(www.daesan.or.kr)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편집자.

 

등장인물

엄마

남자

여자

 

무대

저가 아파트 거실. 오른편에 현관문과 방문이 있고, 붉은색 차압딱지가 집 안 구석구석 붙어 있다. 객석 전면은 밤하늘이 훤히 보이는 베란다로 별이 총총 빛나고 있다.

 

 

거실 한가운데서 김밥을 싸고 있는 엄마.

큰 가방을 구석에 내려놓고 방에 붙은 차압딱지를 살펴보는 남자.

 

엄마 몇줄.

남자 일주일치.

엄마 그럼 김밥 쉰다.

남자 쉰다고? 그건 생각 못했는데. ……일단 싸줘. (차압딱지를 떼며) 이 새끼들 좀 붙일 거면 이쁘게 붙여놓지. 성의 없게 붙여놓냐 더 기분 나쁘게. 이런 건 뗐다가 이쁘게 다시 붙여.

엄마 냅둬. 근데 왜 하필 김밥이야.

남자 가서 뭘 먹어야 하나 생각해봤는데. 아무래도 무중력상태에서 먹기엔 그게 제일 낫지 않나 싶어. 국물은 둥둥 떠다닐 거 아냐. 엄마가 제일 잘 만드는 것도 그거잖아.

엄마 뭘 잘 만들어. 만들고 싶어 만들어? 먹고살려면 어쩔 수 없으니까 마는 거지.

남자 분식집에서 만 김밥만 해도 우리나라 고속도로 두번은 깔았겠다.

엄마 ……집에서 마는 것도 오랜만이다. 옛날에 다같이 바닷가로 여행가서 불꽃놀이했던 이후로는 처음인 것 같아. 지금 보니 그때는 얼마나 행복했는지. 그때 기억나니?

남자 그게 언제 적 일인데. 가끔 보면 엄마도 참 궁상맞다니까. 나 갔다가 오면 엄마 더이상 김밥 말 일도 없어.

엄마 언제 가는데.

남자 오늘.

엄마 오늘?

남자 자정에 출발해.

엄마 얼마 남

저자의 다른 글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