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 테러 이후의 세계와 한반도

 

9·11과 미국인의 양심

 

 

죠지 캇찌아피카스 George Katsiaficas

미국 웬트워스공과대학 인문사회과학부 교수. New Political Science 편집장. 저서 가운데 『신좌파의 상상력』 『정치의 전복』 등이 국내에 소개되어 있음. 이 글의 원제는 “September 11 and the American Conscience”임.

ⓒG.Katsiaficas 2002/한국어판 ⓒ창작과비평사 2002

 

 

나는 한국에서 거의 한 해를 보낸 후, 2001년 크리스마스날 미국에 돌아갔다. 이 풍요의 땅에서, 물건 상자들이 내 머리보다 높이 쌓여 있는 혼잡한 백화점 통로를 걸어가던 나는 소비자들이 살 수 있는 상품들이 엄청나게 많다는 것과, 그것들을 쉽게 신용으로 구매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그 가격이 싸다는 것에 놀랐다. 그런데 더욱 놀라운 것은 승용차에, 트럭에, 가정집과 사무실 앞에, 회사건물과 정부건물 안에, 텔레비전과 신문에도─간단히 말해 어디에나─새롭게 걸려 있는 수십개의 미국 국기들이었다. 미국을 애국심의 물결로 뒤덮기 위해 장사꾼들은 각종 새로운 전시방법을 고안해냈다. 자동차 안테나 끝에 국기를 달 수 있게 한 장치, 멀리서도 보일 만큼 큰 국기를 지탱할 수 있는 튼튼한 차창용 자석, 고속도로의 강한 바람에도 휘어지기만 하지 떨어지지는 않는 강력 흡착판을 부착한 깃대, 온갖 가정용 국기들, 범퍼에 붙이는 스티커, 양복 깃꽂이, 티셔츠, 그리고 잡다한 유행용품 등.

그보다 눈에는 덜 띄지만 거의 보복주의적 민족주의라고 할 수 있는 닫힌 마음도 늘어가고 있다. 너무도 많은 사람들이 굶주리고 주변화된 세계에서 미국의 월등한 부와 권력의 과시를 주저하게 하던 도덕심은 마치 수천명의 무고한 미국인이 살해당한 9·11공격 때문에 완전히 사라진 것 같다. 사람들은 점점 더 ‘우리’ 대 ‘그들’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지만, ‘그들’을 정확히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라는 복잡한 질문을 탐구할 인내심은 거의 없어 보인다.

이 현상의 위쪽에는, 보통 자기중심적인 뉴욕 사람들 사이에서 대단히 상찬되는 새로운 이웃애가 있다. 티셔츠와 범퍼스티커에 새겨진 ‘우리는 단결했다’는 구호가 큰 반향을 얻고 있는 것이다. CNN은 미국의 세 가구 중 두 가구가 평균 134달러를 9·11 희생자 기금에 기부했다고 보도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IMF위기 이후에 나타난 것과 같은 대중적인 기부행위의 전례가 있지만, 미국에서는 그런 대중적 일체감이 드러난 예가 거의 없다.)

그중 가장 요란한 국기가 남성노동자들─목수와 배관공, 건설노동자와 도급업자─의 트럭을 장식하고 있다. 베트남전쟁 시기를 되돌아보면, 바로 동일한 인물들이 가장 큰 목소리로 전쟁을 지지하고 가장 심하게 반전 저항세력을 공격하였다. 그 당시 반전 활동가들은 대학에 거대한 근거지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오늘날 그런 근거지의 규모는 의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