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곡

 

 

이오진

이오진

1986년생. 한국예술종합학교 극작과 3학년.

yavoxya@naver.com

 

 

 

가족오락관

 

씨놉시스

할아버지, 할머니, 아버지, 어머니, 아들, 딸. 평범한 가족이 있다. 노래방 반주기를 틀어놓고 노래하며 춤을 추던 밤, 가족들은 아버지가 교통사고로 죽었다는 전화를 받는다.

3년 후. 충격으로 쓰러진 할머니는 더이상 거동을 못한다. 술독에 빠져 사는 할아버지는 늘 죽은 자식 이야기를 하고, 아들은 공장 노동자가 되어 콤플렉스에 시달리며 살아간다. 동네 오빠들과 노느라 바쁜 딸과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어머니는 밤늦도록 집에 돌아올 줄 모른다. 어느날 회식 자리에서 노래방에 간 아들은 도우미로 나온 어머니와 우연히 마주친다. 아들은 울며 어머니에게 부르짖는다. “우릴 이렇게 만든 새끼, 없어져야 해!” 어머니와 아들은 교통사고로 아버지를 죽게 한 남자를 찾아내 살해한다. 할아버지와 딸도 이 사실을 알게 되지만 암묵적으로 이 살인에 동의한다. 그렇게, 가족은 공범이 된다.

원망할 대상이 사라진 가족에게는 전에 없던 평화가 찾아온다. 그러나 이 평화도 딸이 울며 집에 돌아오던 날 깨지고 만다. “엄마, 나 애 뗐어.” 주유소 사장에게 강간당해 임신했던 것이다. 어머니와 아들은 또 한번 복수를 감행한다. 공장에서 아들을 괴롭히던 C조 조장과 어머니가‘입으로 빨았’는데 2만원만 두고 나간 남자 역시 죽음을 맞는다.

마지막 살인을 한 밤, 가족은 함께 축배를 든다. 그러나 이들의 대화를 엿들은 할아버지가 첫 살인 이후에도 세 건의 살인이 더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되고, 사실을 밝히겠다며 가족을 위협한다. 할아버지는 난생 처음 권력자가 되어 가족들 위에 군림한다. 할아버지의 협박이 이어지자 어머니는 결국 자신의 시아버지를 죽인다. 아들과 딸은 그런 엄마를 이해한다. 엄마가 하지 않았다면 우리가 죽였을 거라고 되레 엄마를 위로한다. 이제는 아무도 모른다며 안심하려는 순간, 가족들의 눈에 누워 있는 할머니가 들어온다.

어머니는 가족사진 앞에 향을 피운다. 할머니는 무대에 없다. 소주를 마시며 일상을 이야기하는 어머니와 아들과 딸. 남겨진 셋은 노래방 반주기를 틀어놓고 노래를 부른다. 마이크 줄로 서로를 옥죄며 장난치는 이들. 엉망진창인 노래를 뒤로하고, 무대는 천천히 어두워진다.

 

* 지면사정으로 작품의 일부만 싣습니다. 전문은 대산문화재단 홈페이지(www.daesan.or.kr)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편집자.

 

등장인물

주정(44) 명진, 명주의 어머니. 종덕, 순영의 며느리.

가정주부였으나 남편이 죽은 후 가장 역할을 함.

명진(22) 주정의 아들. 컴퓨터 부품공장 직원.

명주(20) 주정의 딸. 주유소 아르바이트생.

종덕(75) 주정의 시아버지. 무직.

순영(65) 주정의 시어머니.

아들이 죽은 후 쓰러져 의사소통이 어려움.

 

현대

공간 서울의 다세대주택 3층 가정집

무대 중앙에는 종덕이 술상으로 주로 이용하는 반상이 있다. 순영이 누워 있는 이부자리, 컴퓨터와 의자, 전화. 무대 전면에는 가상의 텔레비전이 있다. 뒤쪽으로 부엌으로 향하는 입구와 방으로 들어가는 문, 집의 출입구가 있다. 무대 중앙에 커다란 가족사진이 걸려 있다.

큰 소리로 말하면 이웃집에 들릴 수 있어 인물들은 대화하다가도 수시로 주위를 살피며, 창문이 닫혀 있는

저자의 다른 글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