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글
-
2023.01.17
-
어떻게 이동할 것인가? 자동차에 납치된 위기의 도시에서 철학하기 김현우‘철도 덕후’이자 과학철학을 전공한 이가 기후위기를 진지하게 말한다. 전현우의 『납치된 도시에서 길찾기: 이동의 위기 탐구』(민음사 2022) 이야기다. 그는 전작 『거대도시 서울 철도: 기후위기 시대의 미래 환승법』(워크룸프레스…2023.01.10
모든 글
-
나라의 주인이신 시민 여러분, 백낙청TV 시청자와 창비주간논평 독자 여러분. 연말이면 ‘신년칼럼’이라는 것을 써왔습니다. 이번 칼럼은 제가 얼마 전에 유튜브 방송을 시작했기에 동영상으로도 올립니다. 아무쪼록 새해에 모두 건강하시고 […]
-
“내 동생이 왜 그곳에 갔는지 물을 것이 아니라 왜 돌아오지 못했는지를 물어야 합니다.”_10·29 이태원참사 유가족 인터뷰 10·29 이태원참사가 일어난 지 53일을 맞는다.(12월 20일 기준) 막을 수 […]
-
자녀에게 무관심하거나 정서적인 폭력을 행사하는 아버지와 자녀와 민주적인 관계를 맺고 돌봄에 정성을 쏟는 ‘아버지’였던 어머니 중에서 국가는 누가 자(子)의 복리를 침해한다고 판단하는가? 우문이다. 하지만 전자의 경우 시민적 […]
-
새 정부 들어 시민들의 상식과 다르게 단어들이 쓰이며 오염되는 경우가 많은데, 지난 11월 11일 기획재정부의 발표도 그중 하나다. 정부의 ‘공공자산’ 매각 방침. 공공자산이란 ‘공공이 보유한 국민의 재산’일 […]
-
출범한 지 7개월을 지나는 시점임에도 현 정부가 대체 무얼 하려는지 모르겠다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정부가 이런저런 ‘깃발’을 들어도 국민들이 큰 관심을 갖지 않는 경우는 있었지만 지금은 […]
-
10월 29일 저녁 핼러윈을 즐기려는 인파가 몰린 서울 이태원 골목에서 순식간에 수많은 압사 사상자가 발생했다(사망 158명, 부상 196명, 2022.11.15 기준). 10만명의 인파가 예측되는 도심 행사였지만 당일 현장에는 […]
-
지난 2년 10개월에 걸친 팬데믹 시기, 서구는 전염병 통제에 무력한 모습을 보였다. 반면 중국정부는 강력한 국가동원 시스템으로 시민의 이동과 언론을 차단함으로써 방역률을 높였고, 그 효과에 기대서 더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