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과비평
로그인/회원가입
소개
창작과비평 소개
연혁
창비를 말하다
편집위원 소개
『창작과비평』 읽기
호별로 읽기
지면별 읽기
창비주간논평
구독
창작과비평
창비어린이
검색
로그인
다국어사이트
ENG
中文
日文
메뉴버튼
창작과비평
매거진 창비 안내
X
닫기
오늘 하루 보지 않기
← 목록으로
[1990 가을] 통권 69호
책머리에
민주ㆍ자주ㆍ통일의 제자리 찾기
좌담
새로운 년대의 문학을 위하여
김영현
신경림
이시영
정남영
시
저녁 언덕길 외
최형
도깨비불 외
이가림
있다는 것 외
김광규
연화리 외
곽재구
우주 속 미국 외
고형렬
소설
鐵의 혀
이대환
먹이사슬
원명희
희곡
남자는 위, 여자는 아래
안종관
평론
사회주의 리얼리즘과 엥겔스의 발자끄론
백낙청
신경림, 왜 널리 오래 읽히나
한만수
1894년 농민전쟁의 역사적 성격과 역사소설
이영호
임화의 소설사론과 그 미학적 근거에 대한 비판적 검토
이상경
80년대 연희예술운동의 전개
임진택
문화시평
「씨네마 천국」, 「남부군」과 「장군의 아들」
안정숙
연속기획
지식인과 교사의 계급적 성격에 대하여
유팔무
한국사회의 계층구조와 지역적 특질
타끼자와 히데끼
서평
생활 속에서 찾아낸 삶의 진실
민영
90년대의 징후와 두 소설집
황광수
성차별 이데올로기와 역사적 맥락
조애리
세 권의 책, 하나의 교육
도종환